미녀는 괴로워 : 200pounds Beauty , 2006 - 티비러버러브
반응형

미녀는 괴로워 포스터 출처-네이버영화

성형으로 달라진 인생

영화의 주인공 강한나(김아중)는 뚱뚱한 외형의 소유자였습니다. 가수를 꿈꾸지만 뚱뚱한 모습 때문에 꿈을 이루지는 못하고 다른 가수의 무대 뒤에서 가수의 립싱크에 노래를 부르는 '얼굴 없는 가수'를 하고 있었다. 그녀는 자신의 목소리를 알아주는 같이 일하는 프로듀서 한상준(주진모)을 좋아하고 있었다. 그녀는 상준의 생일파티에 초대받아 신이 나서 꾸미고 참석하게 된다. 그런데 뒤에서 자신에게 말하는 것과 다르게 자신을 깎아서 말하는 상준에게 충격을 받고 잠적하게 된다. 그녀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려 했으나 그 선택 대신 잠적하며 그녀는 성형의사를 찾아가서 전신수술을 의뢰하게 된다. 전신성형수술을 받은 한나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어 나타난다. 영화를 보며 그녀의 달라진 모습을 보고 알면서도 우와라는 감탄사를 금치 못했다. 이름을 제니로 알리고 한 나라는 것을 숨기며 상준에게 노래 면접을 보며 만나게 된다. 상준은 완전히 변한 그녀를 알아보지 못하고 제니로 데뷔를 시키려고 한다. 데뷔를 하기 도전에 제니는 외모와 실력으로 점점 대중의 사랑을 받게 된다. 그러나 자연미인으로 데뷔한 제니는 남들에게 전신 성형한 사실을 알리지 않아서 마음이 불편합니다. 그러던 와중에 예전에 자신이 립싱크해줬던 가수 아미에게 자신의 정체를 들키게 된다. 이렇게 위기에 빠진 한나는 어떻게 됐을까? 궁금해하면서 영화를 이어 봤다. 데뷔 무대까지 우여곡절 끝에 성공적으로 마친 제니는 앞으로 승승장구할 일만 남았는데 , 끝까지 승승장구할 수 있을까? 다들 영화를 봐서  결말을 꼭 확인해 나와 같은 감정을 공유하기 바란다. 

 

여전한 외모지상주의

이영화는 2006년에 개봉한 영화로 당시 외모지상주의를 소재로하는 영화라고 소개가 됐었다. 당시 외모지상주의가 만연했던 사회분위기 속에 나왔기에 이렇게 흥행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스토리는 다르지만 주제는 비슷한 웹툰인 '외모지상주의'가 요즘 유행하는것을 보면 지금으로부터 13년 전에 개봉한 영화인데 지금의 현실과 그때와 크게 달라지진 않을 것 같다. 이영화 속의 주인공은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가지고 있었지만 외모 때문에 성공하지 못하고, 립싱크 가수 아미는 실력은 없으나 뛰어난 외모로 성공 괴도에 진입하고 있었다. 이럴 때 나오는 말이 있다. "외모가 실력이다." 아마 살면서 이런 말 많이 들어보기도 하고 해보기도 했을 것이다. 인정하고 싶진 않지만 내가 살고 있는 이사회에서는 외모도 실력으로 판단되고 있는 것은 확실하다. 뛰어난 외모를 가진 사람들, 자신의 외모를 가꾸는 사람들을 비판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노력해서 자신을 가꾸는 것은 성실한 실력임은 틀림이 없다. 그러나 외모에만 집중해서 외모로 사람을 나누는 부류의 사람들 때문에 외모지상주의라는 말이 쓰이는 것 같다. 이영화 속 주인공도 그 사람 자체는 변하지 않고 외모만 변했을 뿐인데 사람들의 대우가 달라졌다. 외모에 집착하게 되는 것도 이렇게 다른 사람들의 대우 때문이 아닐까? 이영화를 13년 전에 봤을 때도 이런 현실이 사라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영화를 보면서도 같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일단 나부터 남을 외모로 평가하지 않고 그 사람 자체를 보는 마음을 다져야겠다. 

 

김아중에 의한, 김아중을 위한 영화

주연배우 김아중은 뚱뚱한 한나와, 성형 후의 한나를 연기하기 위해 특수 분장까지 감행했다. 특수분장은 보기에는 너무 쉬워 보이지만 뚱뚱한 분장을 하는 그 당사자는 그 과정이 너무 힘들고 고되다고 알려져 있다. 분장이라는 말 때문에 뚝딱 완성이 될 것 같지만 본을 뜨고 제작하는 과정 또한 길다고 한다. 그 때문에 분장을 준비하는 스태프들도 너무 고생을 하지만 분장을 하고 있어야 하는 당사자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 고된 과정을 거쳐서 그런지 자연스러운 김아중의 특수분장 때문에 성형 후의 변화가 더 드라마틱하게 다가왔다.  그리고 이영화는 ost가 인기를 끌었는데 , 립싱크가 아닌 보컬 트레이닝을 통해 직접 노래를 불렀다. 전문 가수만큼은 아니지만 영화 속 몰입도가 깨지지 않을 정도의 보컬 실력을 뽐냈고,  결과적으로 영화는 누적관객수 608만명이라는 흥행을 거두게 되었다. 이영화로 인해 김아중은 인기를 얻고 유명해지게 되었다.  '고생 끝에 낙이 온다.'라는 말이 이때 쓰이는 것이 아닐까 싶다.

반응형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동 : Start-up, 2019  (0) 2022.06.28
엑시트 : exit, 2019  (0) 2022.06.28
정직한 후보 : Honest candidate, 2019  (0) 2022.06.27
극한 직업 : 마약 범죄 소탕 작전  (0) 2022.06.27
써니 : 추억의 그 시절(sunny, 2011)  (0) 2022.06.26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